Background Image
Previous Page  13 / 32 Next Page
Basic version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13 / 32 Next Page
Page Background

개의 의과대학 등 49개 의료관련 기관으로 구성된 세계최대규모

의 의료복합단지로 휴스턴 도심과는 별개로 또 다른 스카이라인

을 형성하고 있다.

20,000명의 의사 및 박사급 연구원과 10만 명

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으며, 매년 18,000여 명의 외국인 환자를

포함하여 미국 전역에서 내원하는 6백만 명의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심장수술의 전설적 대가인 Dr. Debakey가 활동했던 감

리교병원, 베일러클리닉, 우주인재활치료로 유명한 허만병원 등

이 유명하다.

필자는 2009년 11월부터 1년 6개월간텍사스메디컬센터내앰디

앤더스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연수하고 돌

아왔다.

텍사스메디컬센터의 다른 의료기관들과 마찬가지로 기

부금으로 세워진 비영리병원이며, 최초 기부자의 이름(Monroe

D. Anderson, 1873~1939)의이름을따 1988년개명되어현재

의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최근 9년 내 7차례 미국 내 최고 암센

터로 선정되었으며, 2010년도에는 아랍에미레이트 왕가로부터

1700억 원의 기부금을 포함하여 연 1.5조 원 이상의 외부기부금

및 연구비를 집행하고 있는 연구중심의 암센터이다.

병원의 로고

와 캐치프레이즈는 암을 정복하고자 하는 의지(making cancer

history)를담고있으며, 병원곳곳에는암생존자의사진과투병

기가 걸려 있고, 암 관련 연구에 대한 거액의 기부금에 대한 감사

의 글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앰디앤더슨암센터 안팎

의 세계적 석학들을 접할 기회가 있었는데 2009년 노벨 의학 생

리학상수상자인 Dr. Blackburn의강의가인상적이었으며폐암

및 두경부암의 세계적 권위자이며 필자의 대학선배이신 홍완기

교수가 매주 진행하는 종양내과 최신지견 및 연구 세미나도 많은

도움이되었다. 필자는호흡기내과과장인 Burton F. Dickey 박

사의 지도 하에 이탈리아 출신의 Lucia Piccotti 박사와 공동으

로실험동물을이용하여호흡기도내점액배출에관한실험연구

를 진행하였다. 임상적으로 폐암 관련 최신지견과 관련 연구 관

련 세미나에 주로 참석했으며 기관지 내시경을 중재시술법에 대

한 수련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주로 진단목적에 사용되고 있는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해 다양한 치료에 활용하는 최신 시술법이

인상적이었고, 일부를 제주대학교병원 진료에 적용할 계획이다.

앰디앤더슨암센터는 진료, 입원, 연구 분야가 서로 연결된 거대

한 빌딩군으로 빌딩 간의 거리가 수백 미터에 달하는 곳도 있다.

외부에는 4개의 자체버스노선이 다니고 실내 연결통로에는 수십

대의 골프 카트가 운행되고 있다. 자칫 삭막해 보일 수도 있는 병

원여기저기에내원객을위한배려를곳곳에서찾아볼수있었다.

자그마한 분수, 수족관, 로비에서의 작은 음악회, 소아 환자들이

그린 그림 전시 등. 외래환자 대기 공간과 항암제 주사실의 테이

블에는 그림 맞추기 퍼즐을 늘어놓아 내원객의 기다리는 시간까

지 배려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1 3

12

+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11.07 vol.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