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Previous Page  9 / 32 Next Page
Basic version Information
Show Menu
Previous Page 9 / 32 Next Page
Page Background

09

08

+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11.07 vol.43

What

뇌동맥류란?

뇌혈관의 일부가 약해지면서 비정상적으로 풍선

처럼 팽창하는 것으로 쉽게 파열되며 뇌출혈(지

주막하출혈)이 유발된다 미파열시 증상은 대개 없

으며 파열 순간 엄청나게 심한 두통이 발생 한다.

60%~70% 이상이 출혈이 발생한 후 30일 이내에

사망하며 생존한 경우 과반수 이상이 심각한 후유

증이 남는다.

Why

동맥류가 발생하는 원인은?

동맥경화증, 감염, 외상성원인, 심장질환 등 다양하

며 주로 혈관이 갈라지는 부위에 많이 생긴다. 뇌동

맥류는 최근 연구에는 100명 중 5명정도에서 발생

하며 1% 정도에서 파열하여 뇌출혈 (뇌지주막하 출

혈)이 발생 한다고 알려져 있다.

How

치료법은?

외과적인 개두술과 혈관내 치료법이 있다. 개수술

은 뇌동맥류의 발생위치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

술적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중재적 치료법 (혈관내

치료법)으로 뇌동맥류 내에 코일을 삽입하여 동맥

류로 가는 혈류를 차단함으로써 출혈을 방지하거나

재출혈을 막는 혈관내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혈관내 치료법은?

환자 상태에 따라 부분마취 또는 전신마취를 시행

한 후 다리의 동맥을 천자하여 가는 도관 및 미세한

도관(카테터)을 동맥류부위까지 진행시킨 후 안으

로 선택한 후 코일을 삽입한다.

추후파열하여뇌지주막하출혈을일으키는경우치료를받더라도매우

나쁜 예후를 보이기 때문에 미리 두개골을 열고 클립을 이용하여 묶는

수술을 시행하였다. 이중에서 일부의 뇌동맥류는 뇌속 깊은곳에 위치

하고 있어 두개골을 열고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사망하거나 심각한 후

유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 터지기까지 경과를 보는 방법밖에 없었다.

박현 교수는 뇌동맥류에 대한 치료에 있어서 많은 환자를 뇌동맥류 코

일 색전술로 치료하고 있으며, 치료경과가 좋아 환자의 만족도도 상당

히 높다. 코일 색전술은 두개골을 열지 않고 혈관안쪽을 통해 매우 가

는 도관(카테터)을 뇌동맥류 부위까지 넣은 후 여러 기구와 기술을 사

용해 뇌동맥류안에 미세코일을 채워 막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뿐만 아

니라 동맥류가 뇌속 깊은곳에 위치하고 있어 수술이 불가능한 부위에

있는 경우에도 치료 가능한 방법으로 개두술을 하지 않으므로 입원치

료기간도 3일 이내로 매우 짧아서 환자가 느끼는 부담이 매우 적고 만

족도가 큰 방법이다.

박현 교수에 의하면 뇌동맥류는 터지기 이전까지 별다른 증세가 없어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터지게 되면 예후가 극히 불량한 뇌

출혈(뇌지주막하 출혈)을 동반하기 때문에 사전예방이 중요하다고 한

다. 또한, 최근에는 MRI와같은첨단장비와건강검진의확대로동맥류

발견 사례가 많아졌고, 머리를 열지 않고 치료하는 코일 색전술의 발달

로 적극적인 예방 치료를 받는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그리고

동맥류가 파열 된 경우 심각한 두통이 유발되거나 의식이 소실되는 경

우가 많고, 뇌부종 등이 발생하여 생명유지와 직결되기 때문에 시간을

다투는 경우가 많아 최근에는 머리를 열고 하는 수술보다 치료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시간이 적게 걸리는 코일 색전술을 많이 시행하거나

우선적으로 혈관내 수술을 고려하고 있다고 하였다.

제주대학교병원은 최상의 뇌혈관내 수술적 치료에 필요한 최첨단장비

를 갖추고 경험이 매우 풍부한 의료진이 확보된 상태로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부담을 덜어줌은 물론 뇌혈관내 수술적 치료를 통해 지

역의 의료수준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